충주·경산 등 마일리지 사업 대상 지역 확대
지난 2018년 국토부 시범사업을 시작한 이후 해당 사업의 이용자 수(지난해 12월 기준)는 약 48만 명에 달하며, 올해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지원 사업 대상 지역이 173개 시·군·구로 확대됨에 따라 이용자 수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
2023년부터 저소득층 ·청년층에게 혜택을 강화가 되었습니다.
※ 알뜰교통카드란?
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마다 도보로 이동한 거리를 마일리지로 적립해 교통비 할인을 지원하는 제도
■ 알뜰교통 카드 저소득층·청년층 혜택 강화
대충교통 이용이 잦은 저소득층(차상위계층, 기초생활수급자)과 청년층(만 19세~34세)의 교통비 부담 경감을 위해 1월 1일부터 알뜰교통카드 혜택을 대폭강화합니다.
기존 | 변경(23.1.1~) |
이동한 거리(최대 800m)에 따라 국가와 지자체가 마일리지를 지급(20%)하고 카드 이용실적에 따른 카드사의 추가 지원(10%)으로 대중교통비를 최대 30%까지 절감 |
알뜰교통카드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저소득층은 최대 50%까지, 청년층은 최대38%까지 이용요금 절감 혜택 부여 |
○ 2023년부터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 기준 변경
1회 교통요금 지출액 | 2천원 미만 | 2천원~3천원 | 3천원 이상 | 비고 |
일반(현행 유지) (월 상한) |
~250원 (11,000원) |
~350원 (15,400원) |
~450원 (19,800원) |
보행·자전거 이동거리 (최대800m)에 비례하여 지급 |
청년층(신설) (월 상한) |
~350원 (15,400원) |
~500원 (22,000원) |
~650원 (28,600원) |
|
저소득층(상향) (월 상한) |
350원 → 500원 (22,000원) |
500원→ 700원 (30,800원) |
650원→ 900원 (39,600원) |
○ 정기적 통근(월 22일) 지원 차원에서 월 44회 이용 시까지 지급
■ 알뜰교통카드 발급 및 사용 절차
알뜰교통카드 발급-> 앱 다운로드->앱 회원가입 및 카드수령->알뜰교통카드 및 앱 사용으로 적립 시작
■ 마일리지 적립방법
마일리지를 적용하려면 집에서 출발하면서 알뜰교통카드 앱을 켜고 '출발'을 선택합니다.
교통카드로 대충교통 이용 후 도착지에서 알뜰교통카드를 켜고 '도착'을 선택하면 끝.
마일리지 적립은 바로 되지 않고 이동거리 측정 후 적립됩니다.
1. 출발지에서 대중교통 승차지점까지 걷거나 자전거를 통해 이동한 거리 측정
2. 대중교통 하차지점에서 도착지까지 걷거나 자전거를 통해 이동한 거리 측정
3. 카드사(신용카드 및 t머니)로부터 대중교통 이용정보 수신
4. 대중교통 이용정보와 알뜰교통카드 앱 출발/도착 정보 일치여부 확인
5. 정보 확인된 경우,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마일리지 적립
■ 알뜰교통카드 혜택
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 10%할인은 사용 실적에 따라 한도가 다릅니다.
■ 알뜰교통카드 문의처
○ 회원가입, 앱 설치 및 이용, 마일리지 적립 관련 문의 031-427-4415
○ 카드사별 혜택 등 문의
- 원패스 고객센터 080-427-2342
- 모바일캐시비 고객센터 1644-0006
- 티머니 고객센터 1644-0088
- 하나카드 고객센터 1800-1111, 1588-4000
- 신한카드 고객센터 1544-7000
- 우리카드 고객센터 1588-9955. 1599-9955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3년 자립준비청년 지원강화 자립수당 인상 신청하기 (0) | 2023.01.30 |
---|---|
2023년 생계급여 지급액 확대실시 (0) | 2023.01.30 |
2023년 장애인연금·장애수당 인상 (0) | 2023.01.29 |
2023년 아동 양육가정에 부모급여 시행, 신청기간 및 신청방법 (0) | 2023.01.29 |
알아두면 돈이 되는 금융정보들 (0) | 2023.01.27 |
댓글